기상이변등의 영향으로 국내에서도 폭우와 강풍 등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가 우려되고 있으나 정부 및 자치단체의 근본적인 예방대책은 겉돌고 있어 국민불안만 커지고 있다.
현재 광역시도와 기초단체 등에서는 기상이변이 발생하면 문자서비스나 재난방송을 통해 ‘대피하라’는 통보만 할뿐이다.
산사태 발생우려가 높은 고산지역이나 상습침수지역 등에 대해 근본적인 예방대책을 시행하는 곳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경북지역의 경우 산사태 위험지역이 무려 6천여곳이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산촌이 많은 북부권인 예천의 경우 기존 66곳이 산사태 위험지구로 지정돼 있는데 이번에 36곳이 추가돼 102곳으로 늘었다.
또 봉화는 190곳에서 270곳, 문경은 290곳에서 344곳, 영주는 181곳에서 227곳으로 각각 추가 지정됐다.
문제는 경북도와 각 시군 조사결과 산사태 위험지역은 늘었지만 정작 뚜렷한 대책은 없다는 점이다. 기껏해야 읍면동 연계망을 통해 대피 재난통보나 문자서비스를 확대시행한다는 점이 타지역과 차이점이다.
실제로 경북도는 도내 구축돼 있는 스마트 마을방송 시스템을 현재의 산사태, 산불 등 산림재난정보의 문자알림과 함께 음성알림도 함께 제공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 산촌지역은 거주민 대부분이 노령자로 현행 문자알림은 노령자 등 디지털 취약계층에게 인식의 어려움이 있어 음성알림 제공으로 산사태, 산불 등 산림재난 발생을 신속 정확하게 알린다는 방침이다.
이와관련 지역민들은 “예천 산사태처럼 짧은시간동안 갑자기 폭우가 내리면 대피할 경황도 없는게 농촌상황”이라며 “대부분 노인들이 거주하는 산촌지역에서 대피문자나 방송을 한들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들이 많아 실효성이 의문”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