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산불피해가 발생한 울진과 영덕지역이 국내 최대 송이생산지로 알려지면서 2차적 피해까지 우려되는 등 지역 농업인들의 근심이 깊어지고 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정부가 지난 6일 산불피해가 큰 울진과 삼척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해 직접피해구제에 나서게 됨으로써 최악의 상황은 모면하게 됐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면 정부가 산불피해를 입은 주택 등 사유시설 및 공공시설 복구비(사유시설 70%, 공공시설 50%)를 국비로 지원해 준다. 또 피해주민에게는 생계구호를 위한 생활안정지원금 지원과 지방세 등 납부유예, 공공요금 감면 등의 간접지원이 뒤따른다.
문제는 이같은 지원에도 불구, 생활터전을 잃어버린 후유증과 2차적 피해까지 감안하면 원상태로 회복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라는 점이다. 대표적인 2차 피해가 바로 송이생산 농업인들이다.
공교롭게도 산불발생지역이 송이 주산지라는 점이다. 4일 울진군 북면에서 시작된 산불은 이날 오후 강원 삼척지역으로 번졌으며, 5일 남쪽인 죽변면과 울진읍으로 확산됐다. 산불 피해 지역은 대부분 백두대간 줄기에 해당하는 곳으로 소나무가 많고 특히 송이가 많이 나는 곳에 해당하는 것이다.
국내최대 송이산지중의 한곳인 영덕군에서 지난해 8월 발간한 ‘송이버섯 생태환경 보고서’에 따르면 2월에 발생한 영덕산불과 울진산불의 영향이 국내 송이버섯농가에 치명적이었음을 알수 있다.
최근 송이 발생지역은 주로 낙동정맥과 백두대간 등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보고서는 적시하고 있다. 예컨대 지난 2000~2005년의 송이 생산량을 도별로 비교해보면, 경상북도가 전국 생산량의 약 65%, 강원도가 약 27%를 차지해 90% 이상이 이 두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2005년 전후까지 우리나라 송이 주산지로는 경상북도의 영덕, 울진, 봉화와 강원도 양양, 삼척 등을 꼽을 수 있었다. 그러나 2006년 이후에는 강원지역의 송이 생산량이 급감하고 최근에는 경북 영덕, 울진, 봉화, 청송, 포항지역으로 주산지가 축소되고 있다는 것이다.
또 송이의 발생지역도 점차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1970년대 초반에는 경기도(가평, 광주), 충청남도(예산), 전라남도(담양, 함평, 화순)에서도 송이 수매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지금은 이 지역에서는 송이 수매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생산규모에 따른 지역 순위는 해당 연도의 온도와 강수량 등에 따라 변화되고 있다. 강원지역의 생산량 급감은 산불 피해와 기후온난화 등의 영향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현재 국내 송이생산량은 연평균 219.0톤가량이다. 연도별로 큰 차이가 있는데 2010년에 628.3톤으로 가장 많았고, 2012년이 409.8톤, 2006년 275.9톤, 2007년 231.6톤, 2015년 184.6톤, 2014년 126.4톤, 2013년 103.0톤, 2008년 98.0톤, 2011년 85.7톤, 2009년 59.1톤 순으로 많았던 것으로 분석됐다.
결국 전국 생산량의 약 90%이상이 경북과 강원도에서 생산된다는 측면에서 이번 산불은 송이생산에 치명타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울진의 경우 지난해 산림조합 수매 물량 기준으로 1만2천 159 ㎏의 송이가 거래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국 채취량 10 만2천 193 ㎏의 약 10 %에 해당하는 규모다. 또 지난 2월 15일부터 17일까지 산불이 발생, 400 여㏊의 산림 피해가 난 영덕도 송이 주산지다.
지난해 영덕에서 수매된 송이는 2만8천 190 ㎏으로 전국 수매 물량의 약 30 %를 차지했다. 이를 종합하면 영덕과 울진에서 채취된 송이가 전국 수매량의 40 %를 차지한 셈이다. 게다가 이번에 산불이 확산한 삼척 역시 지난해 송이 수매량이 6천㎏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밖에 다른 산불이 난 강릉이나 동해도 송이가 많이 나는 백두대간 지역이다. 송이 생산 농업인들은 이번 산불로 모든 송이 생산지가 타지는 않았지만 상당한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본다.
울진지역 송이생산 농민은 "산불이 나면 한 30 년은 송이가 안 난다고 봐야 한다"며 "송이 피해가 얼마나 되는지는 미뤄 짐작하기도 어렵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