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가 지난 21일 개최예정이던 ‘2025 포항국제불빛축제’ 메인 행사를 호우주의보로 인해 당일 오후 전격 취소한것과 관련, 그 후유증이 만만찮다.
포항시민들은 물론 당일 포항을 찾은 외지관광객, 지역상인들은 각종 SNS와 포항시 홈페이지 등을 통해 행정의 무능과 대책마련을 촉구하는 비판성 댓글이 쏟아지고 있다.
대체적으로 시민불만의 핵심은 포항시의 안일행정에 맞춰지고 있다.
이미 각종 일기예보를 통해 비가 올것으로 예상됐음에도 포항시는 행사를 강행하겠다는 입장을 보이다 막상 당일 오후 4시30분경 호우주의보가 발효되자 뒤늦게 메인 프로그램을 취소한다고 발표했기 때문이다.
이때문에 이미 수 시간 전부터 포항을 찾은 관광객들 사이에서는 “행사 여부에 대한 사전 공지조차 없었다”며 불만이 폭주했다.
정치권에서도 들고 일어났다.
국민의힘 소속 포항 남구 시·도의원들은 23일 성명을 내고 “행사 시작 수 시간 전 기상청 예보 한 줄에 24억 원 규모의 축제를 취소한 것은 행정 시스템의 총체적 실패”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우천 대책 없이 하늘만 바라보는 안일한 대응이 시민 혼란과 상인 피해를 키웠다”고 지적했다.
이강덕 포항시장과 같은 국민의힘 소속 시도의원들이 직접적으로 이시장을 겨냥해 행정실패로 규정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그만큼 이번 사안이 심각한 사건임을 보여주고 있다.
실제로 해도동과 송도동 일대 상권에서는 수천 명의 인파를 예상하고 도시락, 음료 등 냉장식품을 대량 확보했지만, 손님 없이 재고만 남았다.
일부 편의점과 식당은 급히 ‘1+1 할인 판매’를 내걸었고, “유통기한이 짧아 사실상 손해”라는 하소연이 이어졌다.
한 업주는 “축제 전날까지도 시로부터 강행 여부에 대한 정확한 안내를 받지 못했다”며 “이 정도 대응력이라면 매년 불빛축제를 개최할 자격이 있느냐”고 반문했다.
SNS와 커뮤니티에도 “비행기 타고 제주도에서 왔다”, “연차 내고 왔는데 오전에는 알려줬어야 했다”는 댓글이 줄을 이었다.
일부는 “장마철 야외 불꽃축제를 왜 6월에 하느냐”며 기획 단계부터 잘못됐다고 지적했다.
행사 전 좌석이 당근마켓 등 중고 거래 플랫폼에서 암표로 거래된 사실도 드러나며, 시의 부실한 사전 관리에 대한 비판이 더해졌다.
이와관련 포항시는 “기상 상황 악화로 인한 불가피한 결정이었다”며 “행사 운영 매뉴얼 개선 등 후속 대책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